Page 29 - 만들면서 배우는 아두이노 드론
P. 29

? 지상 활주 착륙 : 양호한 활주로가 있고, 주변 지형이나 장애물이 활주 착륙
            에 적합한 경우에 사용되는 방식으로 착륙활주거리를 짧게 하기 위해 훅을
            사용하거나 바퀴에 브레이크를 장착합니다.

      ? 낙하산 전개 착륙 : 지형에 활주 착륙에 부적합하거나, 엔진 고장 등의 비상
            상황에서 사용합니다

      ? 그물망 : 주로 해군용으로 활주 여건이 안되는 배 위에서 착륙 시 사용합니
            다.

      ? 자동 이착륙 시스템 : 무인 한공기에 장착된 이착륙 시스템으로, 현재 대부
            분의 드론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2.3.2 프로펠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드론의 형태는 “쿼드콥터 X” 입니다. 드론은 프로펠러의 숫자에
따라 다르게 불립니다.

      ? 3 개 : 트리콥터, 대부분 역삼각형 모양의 카본 파이프 등으로 프레임을 제
            작하며 모터 3 개와 변속기 3 개 그리고 전진&후진 시 방향을 제어하는 서보
            모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8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