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6 - 만들면서 배우는 아두이노 드론
P. 26
POI 중앙에 있는 피사체를 원형으로 선회하며 공중에서 촬영하는 기
(Point of 능을 뜻합니다. TV 및 광고에서 많이 사용되는 기능으로 집중도
Interest) 가 높은 고품질의 촬영 각도 구현이 가능합니다.
Kp 지수 태양 흑점 등의 영향으로 지구의 자기장 장애의 강도를 나타내
는 수치로 1~3 까지는 무난한 정도이며 6~7 정도는 매우 강한
노 시그널 장애를 나타냅니다. 장애가 생기면 컴파스 오류가 나타납니다.
고압전류나 저압강전류가 흐르거나 철구조물 부근, 자성체 부근,
노 컨트롤 지자계가 차폐된 공간, 극지방 등에서도 문제가 발생하며, 심각
한 지자계 오류가 있을 때는 기체의 이륙이 불가능해집니다.
GPS 모드 거리가 멀거나, 다른 전파와 혼선이 있거나, 채널을 뺏기거나,
태양풍 등으로 전파장애가 생기거나, 장애물에 가려지거나, 송수
Atti 모드 신 조건 불량 등의 이유로 카메라가 보내오는 영상신호가 끊어
진 경우를 말합니다.
매뉴얼 모드 조종기와 기체간의 조종신호가 끊어져 조종불능 상태가 된 것을
플라이트 모 뜻합니다. 미약한 신호만 있어도 조종신호는 끊어지지 않으며,
끊켜도 다시 복귀되기도 하므로 노 시그널에 비해 덜 발생합니
드 다.
지자기 캘리 GPS 를 이용하여 드론의 고도와 위치를 지정할 수 있는 모드로
조종이 가장 쉽고 임무수행을 위해 꼭 필요한 기능입니다. 사용
브레이션 자가 아무런 조종을 하지 않으면 기체는 보통 그 자리에서 자세
와 고도를 유지합니다.
기본적으로 드론의 수평자세와 고도를 유지시켜주는 모드입니다.
사용자가 조정을 하지 않아도 수평과 고도는 유지하지만, GPS 모
드와 달리 외부의 영향(바람 등)으로 기체가 흘러갈 수 있습니
다.
수동 모드로 사용자가 자세한 관한 모든 제어를 조정해야 하는
모드입니다. 기체를 자유자재로 운용할 수 있습니다.
기체를 가동하기 위해 기준을 설정하는 단계입니다.
지자기는 지구가 방출하는 자기장을 뜻하며, 드론이 진행방향을
인식할 수 있는 이유는 지자기를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인데, 지자
기 센서를 수정하여 정확한 방향인식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업은
지자기 캘리브레이션 혹은 콤파스 캘리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