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6 - 만들면서 배우는 아두이노 드론
P. 46
등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기계적인 방식과 광을 이용하는 광학식 등이
있습니다.
? 지자기 센서(terrestrial magnetism sensor) : 지자기를 검출하는데 사용
되는 센서입니다. 가장 간단한 것은 지침으로서, 지자기의 방향을 직접
알 수 있을 뿐 아니라, 진동 주기로부터 크기를 알 수 있습니다. 지침보
다 감도가 높고 간편하게 지자기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가 많이 개발되
고 있습니다.
?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 초음파의 특성을 이용하거나 초음파를
발생시켜 거리나 두께, 움직임 등을 검출하는 센서입니다. 로봇이나 u-
센서에서 물체를 지각하고, 거리를 측정하는데 이용되는 초음파 센서에
는 음파의 발생과 검출을 겸하는 센서도 있어 드론의 고도나 물체와의
거리를 판독하여 안전한 비행에 도움을 주기도 합니다.
? 기압계 : 대기압을 측정하는 장치를 말합니다. 기압차를 이용하여 드론
이 GPS 없이도 고도를 유지하며 비행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장치입니
다.
? GPS :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정확히 알아낼 수 있어 대표
적으로 네비게이션, 무인 항법장치 등에 많이 사용하는 시스템입니다.
개인의 위치 확인에서부터 비행기(무인 비행장치), 선박, 자동차의 항법,
측량, 지도 제작 등에 쓰입니다.
2.4.5.2 종류
현재 사용하는 비행 장치들을 모두 나열할 수는 없으나 가장 대표적인 플라이트 컨트
롤러인 NAZE32, CC3D, NAZA, Pixhawk, TAROT(ZYX-M), DJI 등의 주요 기능을 간
략히 설명하고자 합니다.
? CC3D, NAZE32, FLIP : 오픈소스를 사용하며 펌웨어 업그레이드&설치
가 간편하며 일반인이 접하기 쉽고 세팅 또한 용이합니다. 현재 유저들
사이에서 인기가 좋으며, 옵션에 따라 GPS, 지자기, 초음파 등의 장착
이 불가능 한 것도 있으니 반드시 설명서를 참조하여 구매하는 것이 좋
습니다.
45